효과를 떨어뜨리는 운동 습관

이미지설명

효과를 떨어뜨리는 운동 습관

댕댕이 0 1636
효과떨1.JPG



꾸준히 운동을 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체중, 허리 사이즈, 근육의 양 등에 변화가 없다면 좌절감에 빠질 수밖에 없습니다. 하지만 절망하기 전, 운동 방식에 문제는 없는지 체크해 보세요. 효과를 떨어뜨리는 운동 방식을 알아보겠습니다.



효과떨2.JPG



횟수에 집착한다


일반적으로 근력 운동을 한다면 한 번에 10~15회 같은 동작을 반복하고 짤막한 휴식을 섞어가며 3세트 가량 하게 됩니다. 그런데 운동 횟수를 의식하고 있다고 해서 효율적인 운동을 한다고 단정할 수 없는데요.

운동 횟수를 잘 지키고 있어도 근육 피로도가 높지 않은 강도로 운동하고 있다면 효과는 떨어질 수밖에 없습니다. 반대로 본인의 역량을 벗어난 강도 높은 운동은 자세를 망가뜨리기 때문에 마찬가지로 비효율적입니다.

바른 자세를 지속적으로 유지하며 3세트를 간신히 끝낼 수 있을 정도의 강도가 좋습니다. 무거운 운동기구로 세트 당 1~5회, 가벼운 운동기구로 18~20회 정도 번갈아가며 하면 운동 정체기를 극복하는데 도움이 됩니다.


효과떨3.JPG



운동 종류가 한정적이다

몇 달째 매일 동일한 운동을 반복하고 있지는 않은지 생각해 보세요. 운동을 아무리 꾸준히 한다 해도 몇 가지 안 되는 동작을 계속 되풀이하는 수준이라면 운동 정체기에 이를 수밖에 없습니다.

운동 횟수와 강도를 높이는 것도 중요하지만 다양한 부위의 근육이 자극받을 수 있도록 운동 방식을 다양화하는 것 역시 중요합니다. 동일한 동작이라도 각도를 달리하면 그것만으로도 자극 받는 근육 부위가 달라져 효과적입니다.


효과떨4.JPG



유산소 운동을 과도하게 한다

심장 강화 운동 혹은 유산소 운동은 심장과 혈관을 튼튼하게 만들고 체중이 줄어드는데 효과적이다. 하지만 달리기, 수영, 자전거타기 등을 과도하게 많이 하게 되면 힘들게 얻은 근육조직까지 소모될 수도 있습니다.

운동을 열심히 해도 근육이 붙지 않는다면 유산소 운동을 주 2회로 제한해야 합니다. 유산소 운동량을 조절하는 것만으로도 근육 조직의 발달 속도가 눈에 띄게 향상되는 효과가 있습니다.



효과떨5.JPG



충분히 쉬지 않는다

운동 후 잠을 제대로 자지 않는다거나 몸이 회복되기도 전 또 다시 운동을 한다면 노력한 만큼 효과를 볼 수 없는 운동 방식입니다.

근력 운동을 하고 나면 근육조직이 손상을 입는데 이 같은 부위가 휴식을 통해 회복돼야 더욱 튼튼하고 밀도 있는 근육이 형성됩니다. 하루 7~8시간 적정 수면을 취하고 근력 운동은 주 3회 정도가 적당합니다.



효과떨6.JPG



탄수화물을 잘 섭취하지 않는다

근육의 밀도를 높이기 위해선 단백질 섭취가 중요합니다. 그런데 단백질을 충분히 먹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근육이 잘 늘어나지 않는다면 탄수화물은 제대로 먹고 있지 체크해볼 필요가 있습니다.

탄수화물은 운동을 할 때 필요한 연료일 뿐 아니라 보다 강도 높은 운동을 할 수 있는 힘이 되는 영양소입니다. 또 근육 조직을 형성해 근육 밀도가 높아지는데도 도움을 주기 때문에 아예 배제한 식단은 좋지 않습니다.



효과떨7.JPG



운동 방식에 따라 제대로 효과를 볼 수도 그러지 못할 수도 있다는 사실 아셨죠? 운동을 해도 효과가 없는 분들은 위 내용에 해당 사항이 없는지 체크해 보시길 바랍니다. 즐거운 주말 보내세요^^




0 Comments
제목
게시물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