밥 지을 때 넣으면 좋은 음식

이미지설명

밥 지을 때 넣으면 좋은 음식

웰모어웰 0 596

c81e50ba4a5cd77a0df02b9eaf40b397_1669880025_6881.JPG



안녕하세요~ 한국인의 주식 밥. ‘한국인은 밥심이다’라는 말이 있을 정도로 중요하게 여겨졌습니다. 예전에 비해 쌀 소비량이 줄긴 했어도, 밥은 여전히 우리의 주식인데요. 그런 밥을 지을 때, 함께 넣으면 암 예방 및 건강에 도움이 되는 음식을 소개해 드립니다.


c81e50ba4a5cd77a0df02b9eaf40b397_1669880025_8824.JPG



녹차


밥을 지을 때 생수 대신 녹차 물 넣으면 항산화 영양소가 풍부해집니다. 백미 200g을 기준으로 녹차 물(녹차분말 3g 포함)을 넣어 밥을 지었더니 항산화 성분인 폴리페놀 함량이 40배 많아졌다고 합니다. 폴리페놀은 몸속 활성산소를 줄여 활성산소로 인한 DNA, 단백질 등의 손상을 막아 항암효과가 뛰어나다고 합니다.


 
c81e50ba4a5cd77a0df02b9eaf40b397_1669880025_9788.jpg



소주


밥물에 소주 두 잔을 부어 밥을 지어도 폴리페놀 함량을 높일 수 있다고 합니다. 백미 100g을 기준으로 현미를 30% 넣은 뒤, 생수 120mL를 넣거나 생수 100mL와 소주 2잔을 넣어 밥을 지었을 때, 소주 두 잔을 넣어 지은 밥이 그냥 물로 지은 밥보다 폴리페놀 함량이 17% 더 높았다고 합니다. 현미는 백미보다 폴리페놀 함량이 높은데 조리 과정에서 소주를 넣으면 현미 속 폴리페놀 성분이 잘 빠져나와 항산화 기능이 더 활발해집니다. 소주를 넣어 밥을 지으면 끓는점이 낮아져 더 오래 끓기 때문에 식감도 더 부드러워진다고 합니다.


c81e50ba4a5cd77a0df02b9eaf40b397_1669880026_1964.JPG



귀리


다른 곡류보다 단백질, 필수 아미노산, 수용성 섬유질이 풍부한 귀리를 함께 넣어 먹는 것도 좋다고 합니다. 귀리는 백미보다 폴리페놀 함량이 약 10배 더 높습니다. 이외에 귀리 특유의 항산화 성분인 아베난스라마이드류가 풍부한데 이는 아토피피부염을 완화하는 효과도 있다고 합니다. 귀리는 물에 충분히 불린 다음 전체 밥 양의 20~30% 넣으면 됩니다.


c81e50ba4a5cd77a0df02b9eaf40b397_1669880026_268.JPG




밥을 지을 때 한 줌 정도의 콩(30g)을 넣거나 콩 불린 물을 넣으면 좋다고 합니다. 콩의 이소플라본 성분은 암세포의 성장을 막고 암의 전이를 억제합니다. 콩은 특히 유방암, 난소암, 자궁내막암, 전립선암에 대한 예방 효과가 있습니다. 콩을 불릴 때 생기는 하얀 거품 성분인 사포닌은 항산화 작용을 하고 세포막 파열을 막아 암 예방에 효과적이라고 합니다.


c81e50ba4a5cd77a0df02b9eaf40b397_1669880026_3431.JPG



비트


비트의 붉은빛을 내는 베타인 성분은 세포 손상을 막고 항산화 작용을 해 암 예방에 도움이 된다고 합니다. 연구에 따르면, 비트 속 폴리페놀은 토마토나 마늘보다 4배 더 많고 활성산소 제거와 암세포 억제에 효과적이라고 합니다. 밥을 지을 때, 껍질을 벗긴 비트를 잘게 잘라 넣고 함께 먹으면 됩니다.


c81e50ba4a5cd77a0df02b9eaf40b397_1669880026_4095.jpg



우엉


우엉 속 아연은 항산화 성분을 도와 활성산소를 제거해 몸속 산화 스트레스를 조절한다고 합니다. 우엉의 끈적거리는 부분인 리그닌은 몸속 발암물질을 배출하는 효과가 있어 암 예방에 도움이 됩니다. 우엉은 식이섬유가 풍부해 소화 시간이 길기 때문에 밥에 최대한 얇게 저며서 넣는 것이 좋다고 합니다.


 
c81e50ba4a5cd77a0df02b9eaf40b397_1669880026_4724.JPG



소개해 드린 음식을 밥 지을 때 넣으면 더 건강하게 먹을 수 있다고 하니 참고해 보시길 바랍니다. 즐거운 하루 보내세요^^


 





 



0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