면역 유지에 좋은 식품

면역 유지에 좋은 식품

댕댕이맘 0 12



db76413238bd217c60932dab99ea1954_1761638735_7858.jpg


 

안녕하세요~ 갑자기 추워진 날씨에 감기와 독감 등 호흡기 질환을 극복하는데 있어 면역력이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한 시기입니다. 건강을 지키기 위해서는 영양소가 풍부한 음식을 섭취해 신체를 튼튼하게 유지하는 게 중요하다고 하는데요. 면역력을 증강시키는 음식을 소개해 드립니다.

 



db76413238bd217c60932dab99ea1954_1761638735_8573.jpg


마늘

마늘에는 질환의 감염을 막고 세균에 강한 알리신이라는 물질이 들어 있습니다. 연구에 따르면 12주 동안 마늘 추출물을 투여 받은 사람들은 감기에 걸리는 확률이 3분의 2까지 떨어졌다는 결과가 나왔다고 합니다. 또한 일주일에 마늘 6쪽을 먹는 사람들의 경우 대장암은 30%, 위암은 50%까지 발병률을 낮출 수 있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고 합니다.



db76413238bd217c60932dab99ea1954_1761638736_0448.jpg


버섯

버섯은 건강한 면역력을 키워줍니다. 연구에 따르면 버섯은 백혈구의 생산을 증대시키고, 보다 공격적인 활동을 하도록 작용한다고 합니다. 버섯은 하루에 15~30g 정도 요리에 넣어서 먹거나, 피자 위에 얹어서 먹어도 된다고 합니다.



db76413238bd217c60932dab99ea1954_1761638736_1406.jpg


해산물

, 가재, 게 등의 갑각류에 많은 셀레늄은 백혈구가 감기 바이러스를 물리치는 단백질(사이토카인)을 생산하도록 도와줍니다. 연어, 고등어, 청어 등에는 오메가-3 지방산이 풍부합니다. 오메가-3 지방산은 염증을 치료하고, 호흡을 좋게 하여 감기나 호흡기 질환으로부터 폐를 보호해줍니다. 일주일에 두 번 정도 먹으면 좋다고 합니다.



db76413238bd217c60932dab99ea1954_1761638736_2064.jpg


홍차

면역력을 높이는 아미노산인 L-테아닌은 홍차나 녹차에 풍부하다고 합니다. 연구 결과 2주 동안 하루에 홍차를 5잔 마신 사람은 뜨거운 가짜 홍차를 마신 사람보다 감기 바이러스를 물리치는 면역력이 10배나 높았다고 합니다.



db76413238bd217c60932dab99ea1954_1761638736_289.jpg


요거트

살아있는 배양균이 가득한 생균제인 요거트는 장 건강을 지켜줍니다. 하루에 200g 정도 먹으면 유산균 제제를 많이 먹는 것과 같은 효과를 볼 수 있다고 합니다.



db76413238bd217c60932dab99ea1954_1761638736_4235.jpg


고구마

피부 면역력을 지키려면 비타민A가 필요합니다. 비타민A를 섭취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고구마 같은 음식에 들어있는 베타카로틴을 먹는 것입니다. 고구마의 베타카로틴은 인체에서 비타민A로 바뀝니다. 하루에 반 컵 정도 170칼로리를 먹으면 비타민A 권장량의 40%가 충족된다고 합니다.



db76413238bd217c60932dab99ea1954_1761638736_5221.jpg


소고기

채식주의자들에게는 아연이 결핍되기 쉽습니다. 소고기에 풍부한 아연은 면역력을 키우는 중요한 미네랄의 하나입니다. 아연은 조금만 부족해도 감염의 위험이 높아집니다. 백혈구의 생성에 중요하며 병균이나 바이러스의 침입에 맞서는 면역력을 강화시킵니다. 기름 없는 살코기 100g에는 하루 권장 아연량의 30%가 들어있다고 합니다.



db76413238bd217c60932dab99ea1954_1761638736_5926.jpg


소개해 드린 음식으로 면역력을 키워서 환절기 건강을 지키시길 바랍니다. 즐거운 하루 보내세요^^







오트밀

오트밀, 보리 같은 곡물에는 항균성과 항산화 작용이 있는 섬유질 효소인 베타글루칸이 들어있습니다. 면역력을 높이고 상처를 빨리 아물게 하며 항생제의 효과도 배가시킵니다. 적어도 하루 한 끼는 통곡물 식사를 하는 게 좋다고 합니다.



db76413238bd217c60932dab99ea1954_1761638736_6803.jpg
 

0 Comments